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McSCI): 지각된 인지 저하의 새 측정 도구

Objectives: 주관적 인지 저하(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는 객관적인 중대한 저하의 증거 없이 자신의 인지 기능에 대한 자기 또는 타인의 우려를 의미하며, 이는 치매 위험의 지표이다. 현재 사용 가능한 SCD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다. 따라서 새로운 심리측정학적으로 타당한 SCD 측정 도구를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다. 새로운 SCD 측정 도구인 맥커스커 주관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s: Hamid R. Sohrabi, Brandon E. Gavett, Michael Weinborn, Craig P. Speelman, Romola S. Bucks, Ralph N. Martins
Format: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24-10-01
Series:The Ewha Medical Journal
Subjects:
Online Access:http://www.e-emj.org/archive/view_article?pid=emj-47-4-67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_version_ 1846120588535398400
author Hamid R. Sohrabi
Brandon E. Gavett
Michael Weinborn
Craig P. Speelman
Romola S. Bucks
Ralph N. Martins
author_facet Hamid R. Sohrabi
Brandon E. Gavett
Michael Weinborn
Craig P. Speelman
Romola S. Bucks
Ralph N. Martins
author_sort Hamid R. Sohrabi
collection DOAJ
description Objectives: 주관적 인지 저하(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는 객관적인 중대한 저하의 증거 없이 자신의 인지 기능에 대한 자기 또는 타인의 우려를 의미하며, 이는 치매 위험의 지표이다. 현재 사용 가능한 SCD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다. 따라서 새로운 심리측정학적으로 타당한 SCD 측정 도구를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다. 새로운 SCD 측정 도구인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자가보고서(McCusker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Inventory, McSCI-S)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보고한다. Methods: 기존에 출판된 측정 도구의 검토와 SCD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임상 및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 주의력 및 집중력, 시공간 구성 능력 및 실행 기능의 6가지 인지 영역에 대한 우려를 평가하기 위한 46문항 자가보고 설문지를 개발했다. McSCI-S를 526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요인 분석, 문항 반응 이론(item response theory) 분석 및 의사결정 기준점(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을 통해 검증하였다. Results: 단일차원 모델(unidimensional model)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comparative fit index=0.94, Tucker–Lewis index=0.94,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90% CI]=0.052[0.049, 0.055], weighted root mean square residual=1.45). McSCI-S의 내적 일관성은 우수했다(α=0.96). SCD를 가진 참가자를 식별하기 위해 ≥24의 기준 점수(cut-off value)를 제안한다. McSCI-S 점수가 높을수록 연령, 성별 및 교육 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전반적인 인지 기능, 일화적 언어 기억력, 실행 기능의 저하 및 더 큰 기억력 불만 및 우울 점수와 관련이 있었다(P<0.001). Conclusion: 우수한 신뢰도와 구성 타당성은 McSCI-S가 다양한 인지 영역에 대한 자가보고 우려(self-reported concerns)를 포착하면서 SCD를 정확하게 추정함을 시사한다. 심리측정학적 분석은 이 측정 도구가 코호트 연구뿐만 아니라 개인별 임상 환경에서도 SCD를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format Article
id doaj-art-81dc41a0f2f744c1899e098c13cadc31
institution Kabale University
issn 2234-2591
language English
publishDate 2024-10-01
publisher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record_format Article
series The Ewha Medical Journal
spelling doaj-art-81dc41a0f2f744c1899e098c13cadc312024-12-16T08:43:17Zeng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The Ewha Medical Journal2234-25912024-10-0147410.12771/emj.2024.e74emj-47-4-67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McSCI): 지각된 인지 저하의 새 측정 도구Hamid R. SohrabiBrandon E. GavettMichael WeinbornCraig P. SpeelmanRomola S. BucksRalph N. MartinsObjectives: 주관적 인지 저하(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는 객관적인 중대한 저하의 증거 없이 자신의 인지 기능에 대한 자기 또는 타인의 우려를 의미하며, 이는 치매 위험의 지표이다. 현재 사용 가능한 SCD 측정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다. 따라서 새로운 심리측정학적으로 타당한 SCD 측정 도구를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다. 새로운 SCD 측정 도구인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자가보고서(McCusker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Inventory, McSCI-S)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보고한다. Methods: 기존에 출판된 측정 도구의 검토와 SCD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임상 및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억력, 언어능력, 지남력, 주의력 및 집중력, 시공간 구성 능력 및 실행 기능의 6가지 인지 영역에 대한 우려를 평가하기 위한 46문항 자가보고 설문지를 개발했다. McSCI-S를 526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요인 분석, 문항 반응 이론(item response theory) 분석 및 의사결정 기준점(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곡선을 통해 검증하였다. Results: 단일차원 모델(unidimensional model)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comparative fit index=0.94, Tucker–Lewis index=0.94,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90% CI]=0.052[0.049, 0.055], weighted root mean square residual=1.45). McSCI-S의 내적 일관성은 우수했다(α=0.96). SCD를 가진 참가자를 식별하기 위해 ≥24의 기준 점수(cut-off value)를 제안한다. McSCI-S 점수가 높을수록 연령, 성별 및 교육 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전반적인 인지 기능, 일화적 언어 기억력, 실행 기능의 저하 및 더 큰 기억력 불만 및 우울 점수와 관련이 있었다(P<0.001). Conclusion: 우수한 신뢰도와 구성 타당성은 McSCI-S가 다양한 인지 영역에 대한 자가보고 우려(self-reported concerns)를 포착하면서 SCD를 정확하게 추정함을 시사한다. 심리측정학적 분석은 이 측정 도구가 코호트 연구뿐만 아니라 개인별 임상 환경에서도 SCD를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http://www.e-emj.org/archive/view_article?pid=emj-47-4-67주관적 인지 저하치매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인지mcsci-s지각된 인지 저하노인
spellingShingle Hamid R. Sohrabi
Brandon E. Gavett
Michael Weinborn
Craig P. Speelman
Romola S. Bucks
Ralph N. Martins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McSCI): 지각된 인지 저하의 새 측정 도구
The Ewha Medical Journal
주관적 인지 저하
치매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
인지
mcsci-s
지각된 인지 저하
노인
title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McSCI): 지각된 인지 저하의 새 측정 도구
title_full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McSCI): 지각된 인지 저하의 새 측정 도구
title_fullStr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McSCI): 지각된 인지 저하의 새 측정 도구
title_full_unstemmed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McSCI): 지각된 인지 저하의 새 측정 도구
title_short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McSCI): 지각된 인지 저하의 새 측정 도구
title_sort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 mcsci 지각된 인지 저하의 새 측정 도구
topic 주관적 인지 저하
치매
맥커스커 주관적 인지 장애 검사
인지
mcsci-s
지각된 인지 저하
노인
url http://www.e-emj.org/archive/view_article?pid=emj-47-4-67
work_keys_str_mv AT hamidrsohrabi maegkeoseukeojugwanjeoginjijangaegeomsamcscijigagdoeninjijeohauisaecheugjeongdogu
AT brandonegavett maegkeoseukeojugwanjeoginjijangaegeomsamcscijigagdoeninjijeohauisaecheugjeongdogu
AT michaelweinborn maegkeoseukeojugwanjeoginjijangaegeomsamcscijigagdoeninjijeohauisaecheugjeongdogu
AT craigpspeelman maegkeoseukeojugwanjeoginjijangaegeomsamcscijigagdoeninjijeohauisaecheugjeongdogu
AT romolasbucks maegkeoseukeojugwanjeoginjijangaegeomsamcscijigagdoeninjijeohauisaecheugjeongdogu
AT ralphnmartins maegkeoseukeojugwanjeoginjijangaegeomsamcscijigagdoeninjijeohauisaecheugjeongdog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