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에서의 성별과 젠더 형평성: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의 근거 및 이용방법

Objectives: 성별(sex)과 젠더(gender)의 차이는 연구 설계, 연구 수행, 과학적 결과의 보고뿐 아니라 일반적인 과학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자주 간과된다. 이는 여성의 경우 더욱 그렇지만 남성도 마찬가지이며, 연구 결과의 일반화와 임상 실무에의 적용을 제한하게 된다. 이 글은 국제 지침(가이드라인)의 근거를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성별과 젠더 보고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장려하고자 한다. Met...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s: Shirin Heidari, Thomas F. Babor, Paola De Castro, Sera Tort, Mirjam Curno
Format: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24-01-01
Series:The Ewha Medical Journal
Subjects:
Online Access:http://www.e-emj.org/archive/view_article?pid=emj-47-1-10
Tags: Add Tag
No Tags, Be the first to tag this record!
_version_ 1846120559560097792
author Shirin Heidari
Thomas F. Babor
Paola De Castro
Sera Tort
Mirjam Curno
author_facet Shirin Heidari
Thomas F. Babor
Paola De Castro
Sera Tort
Mirjam Curno
author_sort Shirin Heidari
collection DOAJ
description Objectives: 성별(sex)과 젠더(gender)의 차이는 연구 설계, 연구 수행, 과학적 결과의 보고뿐 아니라 일반적인 과학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자주 간과된다. 이는 여성의 경우 더욱 그렇지만 남성도 마찬가지이며, 연구 결과의 일반화와 임상 실무에의 적용을 제한하게 된다. 이 글은 국제 지침(가이드라인)의 근거를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성별과 젠더 보고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장려하고자 한다. Methods: 9개국을 대표하는 13명의 전문가 패널이 일련의 원격 회의, 학술 발표 및 2일간의 워크숍을 통해 지침을 만들었다. 716명의 학술지 편집자, 과학자, 국제 출판계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과학계 출판에서 성별과 젠더 정책에 대한 문헌 조사도 하였다. Results: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은 연구 설계, 자료 분석, 결과 및 결과 해석에서 성별과 젠더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포괄적인 절차이다. Conclusion: SAGER 지침은 일차적으로 저자가 원고를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고안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과학의 문지기 역할을 하는 편집자들이 편집 과정에 필수적인, 성별과 젠더에 대한 사정/판단을 원고에 통합시키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
format Article
id doaj-art-0baf9b2923874f56a36f57017a6eefbd
institution Kabale University
issn 2234-2591
language English
publishDate 2024-01-01
publisher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record_format Article
series The Ewha Medical Journal
spelling doaj-art-0baf9b2923874f56a36f57017a6eefbd2024-12-16T08:43:16Zeng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The Ewha Medical Journal2234-25912024-01-0147110.12771/emj.2024.e10emj-47-1-10연구에서의 성별과 젠더 형평성: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의 근거 및 이용방법Shirin HeidariThomas F. BaborPaola De CastroSera TortMirjam CurnoObjectives: 성별(sex)과 젠더(gender)의 차이는 연구 설계, 연구 수행, 과학적 결과의 보고뿐 아니라 일반적인 과학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자주 간과된다. 이는 여성의 경우 더욱 그렇지만 남성도 마찬가지이며, 연구 결과의 일반화와 임상 실무에의 적용을 제한하게 된다. 이 글은 국제 지침(가이드라인)의 근거를 설명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서 성별과 젠더 보고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장려하고자 한다. Methods: 9개국을 대표하는 13명의 전문가 패널이 일련의 원격 회의, 학술 발표 및 2일간의 워크숍을 통해 지침을 만들었다. 716명의 학술지 편집자, 과학자, 국제 출판계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과학계 출판에서 성별과 젠더 정책에 대한 문헌 조사도 하였다. Results: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은 연구 설계, 자료 분석, 결과 및 결과 해석에서 성별과 젠더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포괄적인 절차이다. Conclusion: SAGER 지침은 일차적으로 저자가 원고를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고안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과학의 문지기 역할을 하는 편집자들이 편집 과정에 필수적인, 성별과 젠더에 대한 사정/판단을 원고에 통합시키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http://www.e-emj.org/archive/view_article?pid=emj-47-1-10성별젠더지침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과학적 연구과학계 출판젠더 편견형평성
spellingShingle Shirin Heidari
Thomas F. Babor
Paola De Castro
Sera Tort
Mirjam Curno
연구에서의 성별과 젠더 형평성: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의 근거 및 이용방법
The Ewha Medical Journal
성별
젠더
지침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과학적 연구
과학계 출판
젠더 편견
형평성
title 연구에서의 성별과 젠더 형평성: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의 근거 및 이용방법
title_full 연구에서의 성별과 젠더 형평성: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의 근거 및 이용방법
title_fullStr 연구에서의 성별과 젠더 형평성: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의 근거 및 이용방법
title_full_unstemmed 연구에서의 성별과 젠더 형평성: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의 근거 및 이용방법
title_short 연구에서의 성별과 젠더 형평성: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의 근거 및 이용방법
title_sort 연구에서의 성별과 젠더 형평성 sager 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지침의 근거 및 이용방법
topic 성별
젠더
지침
sager(sex and gender equity in research)
과학적 연구
과학계 출판
젠더 편견
형평성
url http://www.e-emj.org/archive/view_article?pid=emj-47-1-10
work_keys_str_mv AT shirinheidari yeongueseouiseongbyeolgwajendeohyeongpyeongseongsagersexandgenderequityinresearchjichimuigeungeomichiyongbangbeob
AT thomasfbabor yeongueseouiseongbyeolgwajendeohyeongpyeongseongsagersexandgenderequityinresearchjichimuigeungeomichiyongbangbeob
AT paoladecastro yeongueseouiseongbyeolgwajendeohyeongpyeongseongsagersexandgenderequityinresearchjichimuigeungeomichiyongbangbeob
AT seratort yeongueseouiseongbyeolgwajendeohyeongpyeongseongsagersexandgenderequityinresearchjichimuigeungeomichiyongbangbeob
AT mirjamcurno yeongueseouiseongbyeolgwajendeohyeongpyeongseongsagersexandgenderequityinresearchjichimuigeungeomichiyongbangbeob